이번 포스팅에서는 책 소개를 하려고 합니다.
최근 시장이 많이 좋지 않은데요. 어려운 시장에서 매번 동전 던지기를 하며 확률 낮은 게임을 계속하는 것보다는, 이럴 때일수록 다시 배운다는 생각으로 공부를 해야 할 때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에 읽었던 경제 도서 중 가장 저에게 와닿았던 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 하워드 막스 지음
이 책은 어떤 주식에 투자해라, 재무제표는 어떻게 봐라, 어떤 지표를 봐라 이런 내용이 담겨있지는 않습니다.
이 책에서 주구장창 외치는 말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시장은 항상 사이클이 있고, 지금 사이클의 어디쯤인지 판단하라"입니다.
투자의 대가 하워드 막스가 왜 도대체 이런 말을 하는지 제가 읽으면서 밑줄 친 문장을 중심으로 소개하겠습니다.
"보통의 투자자는 금융사를 읽지 않아서 과거의 사이클에서 가르침을 얻지 못했다"
"상승 추세가 장기간 지속되거나 엄청난 극단을 향해 갈 때, 사람들은 '이번에는 다르다'라고 말하기 시작한다"
"사이클은 반복되지만 늘 확신에 찬 신세대들은 현재 상황을 엄청나게 혁신적인 발견인 양 맞이한다"
"엄청난 상승으로 이익을 본 주식과 시장은 무한정 오르기보단 사이클 조정에 굴복한다, 이번에도 다르지 않다"
성장하는 국가에서 장기적으로 시장은 우상향 합니다. 우리나라 코스피도, 미국 나스닥도 결국에는 우상향을 해왔습니다. 하지만 잠깐잠깐 끊어서 보면 그 사이에는 폭락장도 있고, 긴 상승장도 존재합니다. 이때 안타깝게도 인간은 매우 근시안적인 행태를 반복합니다. 특히 주식시장의 새로운 상승장에서 처음 참가하는 젊은이들은 자신의 좋은 수익률이 자신의 능력 때문인 것으로 오인합니다. 그리고 확신에 차서 더 오를 거라는 확증편향에 사로잡힙니다. 그들의 마음속에는 사이클이란 없습니다. 새로운 기술, 새로운 사회 등을 들먹이며 이번에는 다르다고 주장합니다. 하락이 영원히 오지 않을 것처럼 상승을 외치지만, 늘 그랬듯이 사이클의 끝에는 하락이 있습니다.
다음은 사이클을 이해하지 못하는 투자자들이 돈과 기회를 잃는 과정입니다.
"사람들은 일이 잘될 때에는 더 낙관적이고 위험을 수용하는 반면, 하락세로 돌아서면 걱정이 많아지고 위험을 회피한다"
"심리 사이클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극단 성이다. 사이클은 지나치게 엉뚱한 방향으로 움직이기도 한다"
"극단적인 상황에서, 그들은 열정적으로 흥분해서 너무 높은 수준으로 매수호가를 부르고 비현실 적인 이야기를 받아들인다"
"그리고는 나중에서야 이런 것들이 어처구니없었다는 것을 알아차린다"
"투자자들은 하락세에서 많은 돈을 잃고 나서야 욕심이 지나쳤고 너무 쉽게 믿었다고 스스로를 책망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어떻게 그렇게 어리석은 행동을 했는지 궁금해한다"
"투자자들은 그때는 진정으로 이해한 것이 아니었음을 고백하고 다시는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맹세한다"
"이제 투자자들은 가격을 끌어내리고 바닥에서 매도한다"
"투자 실패를 경험하고 , 투자는 뛰어들지 말아야 할 위험한 분야라고 확신하고 위험회피 성향이 극단으로 치닫는다"
"뛰어난 투자자들은 이러한 사실을 인식하고 반대로 행동하려고 노력한다"
이 책에서는 사이클의 상승 극단에서 보이는 투자자들의 아전인수적인 행태를 비판하기도 합니다
어닝 서프라이즈 : 경제 강화 → 주가 반등
어닝 쇼크 : 중앙은행 금리인하 가능성 → 주가 반등
예상과 부합 : 낮은 변동성 → 주가 반등
은행이 40억을 벌었다 : 사업여건 우호적 → 주가 반등
은행이 40억을 잃었다 : 나쁜 뉴스 제거됨 → 주가 반등
유가 급등 : 수요 견인 성장 → 주가 반등
유가 급락 : 소비자 구매력 증가 → 주가 반등
달러 가치 급락 : 수출업자에게 긍정적 → 주가 반등
달러 가치 상승 : 수입업체에 긍정적 → 주가 반등
인플레이션 급등 : 자산가치 상승 초래 → 주가 반등
인플레이션 하락 : 수익의 질 향상 → 주가 반등
이처럼 모든 뉴스가 주가 반등으로 이어지는 극단적 확증편향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1년 전 주식시장 및 코인 시장의 호황일 때 이 같은 행태가 많이 보였었습니다. 그때는 가격이 오르면 "달리는 말에 올라타라"라고 하다가 떨어질 때는 "2보 전진을 위한 1보 후퇴"라고 하는 등의 행태를 보였었죠. 그런데 현재는 하락장입니다. 아무도 시장에 참여하기를 꺼려하고 시장 참여자들을 바보로 여기는 분위기입니다. 하락하면 "떨어지는 칼날은 잡는 게 아니다"라고 하고 오르면 "기술적 반등일 뿐이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하락장에도 끝은 있을 것이고 '동틀 무렵이 가장 어둡다'라는 말이 있는 것처럼 언젠가는 누가 그랬냐는 듯 상승이 시작될 것입니다. 그때, 이 책을 읽고 교훈을 얻은 투자자들은 사이클이 주는 과실을 따먹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지금이 사이클의 어디쯤인지, 그 때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지를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을 통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서평 1편 끝.
https://ecommon-sense.tistory.com/12 -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2편
지금이 사이클의 어디쯤일까 -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 하워드 막스] 2편
지난 시간에 작성했던 포스팅은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 하워드 막스]에서 소개하는 사이클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 하워드 막스] 1편 → https://ec
ecommon-sense.tistory.com
https://ecommon-sense.tistory.com/13 -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3편
주식 사이클 대응법 -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 하워드 막스] 3편
지난 시간에 이어서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 하워드 막스] 서평 3편을 시작하겠습니다. 1편, https://ecommon-sense.tistory.com/11 주식시장에서의 사이클 -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 하워드 막스
ecommon-sense.tistory.com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사에서 아재들이 비효율적으로 일하는 이유 [행동경제학 by 리차드탈러(넛지 저자)] - 3 (1) | 2023.09.25 |
---|---|
마이너스 종목에 물타기를 하는 심리[행동경제학 by 리차드탈러(넛지 저자)] - 2 (0) | 2023.09.19 |
재수생이 N수생이 되는 심리[행동경제학 by 리차드탈러(넛지 저자)] - 1 (1) | 2023.09.18 |
주식 사이클 대응법 -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 하워드 막스] 3편 (0) | 2022.09.18 |
지금이 사이클의 어디쯤일까 - [투자와 마켓 사이클의 법칙 - 하워드 막스] 2편 (0) | 2022.09.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