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16

파운드리? 메모리?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는 어떤 반도체를 생산할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입니다. 이 두 기업이 주력으로 생산하는 제품은 다름 아닌 산업 의 쌀 반도체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는 단순히 '반도체'라고 부르지만, 사실 반도체 산업은 어마어마하게 커서 단 순히 반도체 기업이다 라고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의 어떤 부분을 담당하고 있느냐 까지 설명할 수 있어야 그 기업을 온전히 설명할 수가 있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는 반도체 산업의 분류를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도체 산업의 분류에 대하 여 간략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메모리 반도체와 시스템 반도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주력으로 생산하는 제품이 바로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크게 D램과 낸드플 래시로 나뉘는데요.. 2022. 11. 12.
반도체 원료가 모래라고? 우리나라 제품이 세계 1등이면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인 반도체. 이 반도체는 엄청난 기술력이 집약되어 있으며 이러한 반도체를 만들기 위해서 엄청난 인력과 자본이 투입됩니다. 하지만 여러분은 이 반도체의 원료가 뭐였는지 생각해보신적이 있으신가요? 언뜻 직관적으로 생각하기에는 플라스틱? 혹은 금속? 으로 만들어질 거 같은데요. 정답을 말하자면 반도체는 놀랍게도 모래로 만듭니다. 우리 주위에 흔하게 볼 수 있는 모래, 흙, 돌맹이는 보통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집니다. 이산화규소는 원소기호로(SiO2)인데 여기서 S가 바로 규소, 즉 다른말로 실리콘이며 이 실리콘으로 반도체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 실리콘의 특징은 첫째, 엄청나게 풍부하여 가격이 저렴합니다. 실리콘은 지구 지각의 질량에서 약 .. 2022. 11. 11.
자율주행 레벨은 어떻게 나누어지나? 자율주행 단계별 정의 최근 자동차 산업에서의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는 자율주행일 것입니다. 하지만 자율주행도 레벨에 따라 얼마나 더 똑똑하느냐가 나누어져 있습니다. 물론 레벨이 높을수록 운전자의 개입이 줄어들고 마지막에는 조향장치(핸들)와 페달이 없어지는 형태까지 발전하게 됩니다. 흔히 통용되는 자율주행 단계 분류는 레벨1부터 레벨5까지 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율주행의 각 레벨의 정의를 설명해보고 현재 기술력은 어느 정도까지 왔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Lv.1 Lv.1단계는 자율주행이라고 하기보다는 운전 보조수단에 가깝습니다. 보통 옵션으로 많이 들어가 있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 정도가 자율주행 레벨 1단계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레벨1 단계에서는 기본적으로 운전자가 대부분의 상황을 통제하며 시스템은 속도, 차간거리 유.. 2022. 11. 10.
불마켓(Bull Market)과 베어마켓(Bear Market)의 유래 오늘은 가벼운 주제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불마켓(Bull Market)과 베어마켓(Bear Market) 유래인데요. 언뜻 생각하면 황소와 곰 모두 공격적이고 강력함이 떠오르는데요. 여의도에 있는 한국거래소 로비에도 황소와 곰이 멋지게 싸우는 동상이 꽤나 감탄을 자아냅니다. 근데 왜 황소는 호황을 의미하고 곰은 불황을 의미하게 된 것일까요? 1. 싸우는 형태 첫번째 유력한 설은 두 동물의 싸우는 형태입니다. 황소는 싸울 때 머리와 뿔을 아래에서 위로 쳐 들어올리며 싸움을 합니다. 황소가 뿔로 위로 들이받아 경기가 위로 올라간다는 것이죠(Up). 반대로 곰은 싸울 때 두 발로 일어나서 상대를 아래로 짓눌러 제압을 합니다. 아까와는 반대로 곰이 경기를 짓눌러(Down) 불황을 연상케하는 것이죠.. 2022. 10. 4.
주식투자 시 주가가 아니라 시가총액을 봐야 하는 이유 많은 분들이 주식투자를 하면서 시가총액을 왜 알아야 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투자를 할 때 반드시 시가총액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보겠습니다. 1. 시가총액의 의미 시가총액을 수식으로 표현해보면 [시가총액 = 지금 현재 주가 x 총 주식수] 입니다. 수식만 나오면 집중력을 잃으시는 분들을 위해 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시가총액이란 "지금 당장 이 회사 전체를 살수 있는 돈" 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예를 들어서 글을 쓰고 있는 지금 현재(2022년 9월)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약 343조 원입니다. 제가 343조원이 있다면 삼정전자가 가진 건물, 공장, 특허 심지어 앞으로 벌어들일 돈 까지... 삼성전자가 가진 모든 것을 꿀꺽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2. 주가보다 시총.. 2022. 9. 30.
매파 비둘기파 의미와 유래 요즘 경제뉴스에 자주 나오는 매파와 비둘기파. 도대체 왜 경제뉴스에 새들이 나오는지 모르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매파 비둘기파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또 어떻게 유래된 것인지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1. 매파 비둘기파의 의미 쉽게 말하면 매파는 강경파, 비둘기파는 온건파입니다. 어떠한 정책을 사용할 때 급진적으로 혹은 강경한 정책을 쓰길 원하는 사람들을 매파라고 합니다. 반대로 소프트하고 완만한 정책을 사용하길 원하는 사람들을 비둘기파라고 하지요. 이름만 딱 들어도 매는 강력하고 비둘기는 좀 약해 보이지 않나요? 그래서 그런 이미지로 기억하시면 쉽게 기억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매파 비둘기파가 사용된다면 그것은 십중팔구 미국중앙은행에 관한 내용일 것입니다. 미국중앙.. 2022.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