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16

PER 분석의 맹점 - 상대가치평가 2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 분석 시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PER의 개념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주세요 https://ecommon-sense.tistory.com/17 PER이란 무엇인가 - 상대가치평가1 PER,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죠 우리가 이 주식이 얼마나 비싼지 알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삼프로방송을 듣거나 주식하시는 분들의 대화를 듣다 보 ecommon-sense.tistory.com 그럼 오늘 포스팅 바로 예를 한번 들어봅시다 2022년 2월, 당신은 그릇 제조업 투자에 관심이 있고 상장기업 중 그릇 제조사 2곳이 있습니다. (주)일회용은 일회용그릇을 만들어서 얼마 안남지만 재빠르게 이익을 남.. 2022. 9. 27.
PER이란 무엇인가 - 상대가치평가1 PER,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죠 우리가 이 주식이 얼마나 비싼지 알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삼프로방송을 듣거나 주식하시는 분들의 대화를 듣다 보면 멀티플이 좀 비싸다. 혹은 퍼가 좀 높다. 라는 대화를 하는데요 이때 여기서 멀티플, 퍼, 혹은 배수가 의미하는 대부분이 PER입니다. 오늘은 이렇게 주식 가치를 계산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PER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 PER의 사전적 의미 일단 PER 자체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먼저 알아봅시다 PER = 시가총액/순이익 입니다. 분모 분자를 발행주식수로 나누면 주가/주당순이익(EPS)가 되는 것이죠 예를 들어 A기업의 주가가 10만 원이고, 주당순이익(EPS)이 2만 원이라면 PER = 5.. 2022. 9. 26.
기업분석 기초 - 절대가치평가 법의 왕초보 개념 당연한 거지만 주식투자는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 돈을 버는 겁니다. 그래서 매수 시점에 이 종목이 쌌는지 아니면 팔 때 이게 비싼지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야속하게도 시장은 적정가격을 알려주지 않고 매일매일 오르락내리락할 뿐입니다. 적정 가격은 오직 투자자 자기 자신만이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적정 가격을 구하는 방법은 크게 대상 기업만을 분석하는 절대가치평가방법과 다른 기업과 비교하는 상대가치평가방법으로 나뉩니다. 오늘은 그 중 절대가치 병가 방법에 대해서 개념 정도만 이해하기 쉽도록 간단한 예시와 함께 풀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1. 절대가치평가의 개념 쉽게 이해하기 절대가치평가는 기업이 미래에 얼마나 돈을 벌지 계산해서 현재의 기업가치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당신은 2022년 현재 .. 2022. 9. 24.
환율이 뭔지 정확히 설명 못하는 사람 클릭. 이 글로 환율 설명 끝. 경제뉴스에 단골손님으로 등장하는 환율. 다들 많이 들어는 봤지만 내 아들, 딸, 여친, 남친이 물어봤을 때 설명하자니 입에서 맴도는 그런 헷갈리는 개념이지요 자 그럼 거두절미 하고 환율이 뭔지 설명 들어갑니다. 환율은 교환비율의 약자로 보면 쉽습니다 자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 교환비율의 기준이 1달러라는 것이지요. 즉 1달러를 사려면 원화를 얼마나 줘야하냐를 뜻하는 것입니다. 즉 환율 = 1달러의 가격이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만약 환율이 1,300원이라면 1달러의 가격이 1,300원이라는 뜻입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셨죠? 자 그럼 예시를 하나 들어봅시다. 다음 경제뉴스를 이해 해봅시다. 앵커 : 올해 우리나라는 환율상승에 힘입어 사상 최대의 수출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환율이 상승했는데.. 2022. 9. 14.
부동산 분석 시 고려해야 할 5가지 키포인트- 부동산 기초 상식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부동산일 것입니다. 누구는 부동산 때문에 울고, 누구는 웃지요. 그리고 부동산에 관한 주제는 예전에는 어른들의 전유물이었지만, 이제는 나이 불문하고 일상 대화에 언제 어디서나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이런 부동산에 관한 대화 주제가 나왔을 때 한마디 거들 수 있는 정도의 기초 부동산 분석 지식을 쉽게 풀어드리고자 합니다. 부동산, 특히 주택을 구매할 때 고려해야 할 요인들은 매우 다양합니다. 하지만 그중에서 부동산 분석 시 우리가 가장 중요시 여겨야 할 5가지 키포인트는 바로 아래 목록과 같습니다. 1. 고소득 직장 2. 교통호재 3. 교육환경 4. 자연환경 5. 도시계획 아주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저 5가지를 체계적으로 머릿속에 정리하고 계신 분.. 2022. 9. 12.
경영학과, 경제학과 도대체 무슨 차이? - 경영학과 편 지난번에는 경제학과에 대한 설명을 드렸습니다 경제학과, 경영학과 도대체 무슨 차이? - 경제학과 편 경제학과를 졸업한 저와 경영학과를 졸업한 우리 아내도 두 학문의 차이점을 모르고 진학했습니다. 그 당시 선생님들도 제대로 두 전공의 차이를 설명해주시지 못했죠. 오늘은 진로 고민을 하 ecommon-sense.tistory.com 그렇다면 이번 시간에는 경영학과가 어떤 전공인지를 먼저 알아보고 그다음 경제학과와 비교하는 시간도 한번 가져보겠습니다. 1. 경영학과가 뭐에요? 경영학과는 기업을 경영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이에 맞는 것들을 배우는 전공입니다. 영어로 하면 Business School이라고 부르는데요. 말 그대로 Business = 사업에 관한 것들을 배우죠. 대표적으로 회계학, 재무관리론, 마.. 2022.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