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주식투자 시 주가가 아니라 시가총액을 봐야 하는 이유

by 스몰토커 2022. 9. 30.

많은 분들이 주식투자를 하면서 시가총액을 왜 알아야 되는지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투자를 할 때  반드시 시가총액을 알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보겠습니다.

1. 시가총액의 의미


시가총액을 수식으로 표현해보면
[시가총액 = 지금 현재 주가 x 총 주식수] 입니다. 
수식만 나오면 집중력을 잃으시는 분들을 위해 쉽게 풀어서 설명하자면

시가총액이란 
"지금 당장 이 회사 전체를 살수 있는 돈" 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예를 들어서 글을 쓰고 있는 지금 현재(2022년 9월)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은 약 343조 원입니다.

제가 343조원이 있다면 삼정전자가 가진 건물, 공장, 특허 심지어 앞으로 벌어들일 돈 까지... 삼성전자가 가진 모든 것을 꿀꺽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2. 주가보다 시총을 알아야 하는 이유


우리가 주식가격을 논할 때 상대가치평가 방법을 많이 씁니다. 
상대가치평가는 여러개의 기업을 분석해서 어떤 기업이 가성비가 좋은지 판별하는 것을 말합니다.  
(상대가치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은 맨 아래 링크 참조 바랍니다.)

이때 시가총액을 활용하는 것이 기업의 가성비를 따지는데 가장 중요한 기준 역할을 합니다. 

상황을 가정해서 예를 들어봅시다.
1. 당신은 100조 자산가 입니다.(생각만 해도 흐뭇)
2. 당신은 기업하나를 인수하고 싶습니다.
3. 현재 나와있는 매물은 LG전자와 네이버입니다.
- LG전자 : 주가  9만7천원, 시총 16조
- 네이버 : 주가 23만5천원, 시총 38조 

이때 단순히 주가만 비교해서는 아무런 정보를 얻을 수가 없습니다. 주가는 단지 전체 기업가치(시총)를 얼마나 잘게 쪼갰느냐일 뿐이니까요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시가총액입니다.

위 가정에서 현재 네이버의 시총이 LG전자의 시총의 2배 이상인 상황입니다.

만일 당신이 생각하기에 "와... 네이버가 아무리 요즘 잘나가도 LG전자의 두배를 주고 사긴 좀 그런 거 같은데...?"라고 
생각한다면 네이버는 비싼주식이 되는 거죠. 그렇게 생각한다면 당신은 LG전자 주식을 사면 되는 겁니다.

반대로 이렇게 생각할수도 있습니다.

아니 LG전자가 쌓아온 브랜드 가치, 가지고 있는 공장, 공장부지, 기계 등등을 다 합친 거보다도
사람들은 네이버를 2배 이상의 값을 쳐주는구나 네이버가 가진 성장동력이 그만큼 강한걸까? 

라고 생각하면서 네이버의 성장동력을 조사해봅니다.그리고 분석 결과, 미래에는 네이버가 LG전자보다 10배 이상의 돈을 벌어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면, 당장은 LG전자보다 2배 이상 비싸도 네이버는 싼 주식이라고 평가될 수도 있는 거죠.
나중에는 10배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시가총액은 이렇게 기업을 비교하여 현재 기업의 주가가 싼지 비싼지 알아볼 수 있는 가장 기초적이고 유용한 도구입니다. 
 
" 1주를 사더라도 회사전체를 인수한다는 마음으로 사라" 투자의 리빙 레전드 워렌버핏 옹이 하신 말씀이죠.

그러므로 여러분도 단 1주를 투자하더라도 시가총액을 확인하여 그 기업을 통으로 사버린다는 생각으로 분석하여 매수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끝.
 

 

 

PER이란 무엇인가 - 상대가치평가1

PER,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죠 우리가 이 주식이 얼마나 비싼지 알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삼프로방송을 듣거나 주식하시는 분들의 대화를 듣다 보

ecommon-sense.tistory.com

 

PER 분석의 맹점 - 상대가치평가 2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 분석 시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PER의 개념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주세요 https://ecommon-sense.tistory.com/17 PER이란 무엇인가 -

ecommon-sense.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