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

기업분석 기초 - 절대가치평가 법의 왕초보 개념

by 스몰토커 2022. 9. 24.

당연한 거지만 주식투자는 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 돈을 버는 겁니다.
그래서 매수 시점에 이 종목이 쌌는지 아니면 팔 때 이게 비싼지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야속하게도 시장은 적정가격을 알려주지 않고 매일매일 오르락내리락할 뿐입니다. 적정 가격은 오직 투자자 자기 자신만이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적정 가격을 구하는 방법은  크게 대상 기업만을 분석하는 절대가치평가방법과 다른 기업과 비교하는 상대가치평가방법으로 나뉩니다.

오늘은 그 중 절대가치 병가 방법에 대해서 개념 정도만 이해하기 쉽도록 간단한 예시와 함께 풀어서 설명해보겠습니다.

1. 절대가치평가의 개념 쉽게 이해하기

 

절대가치평가는 기업이 미래에 얼마나 돈을 벌지 계산해서 현재의 기업가치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당신은 2022년 현재 A라는 기업을 인수하려고 합니다. 현재 A기업의 오너는 당신에게 1,000만 원을 제시하였습니다.
당신은 1,000만원이 적정 가격인지 아닌지 A기업을 절대가치평가법으로 분석해보려고 합니다.
당신은 한달동안 열심히 A기업의 사업을 분석하였고

A기업의 미래 당기순이익을 아래처럼 예상하였습니다. 

2023년, 100만원의 순이익  
2024년, 200만원의 순이익
2025년, 200만원의 순이익  
2026년, 500만원의 순이익
2027년, 1,000만원에 회사를 다른 투자자에게 팔 수 있음. 

물가상승률과 금리를 고려하지 않을 때 A기업은 2027년까지 당신에게 총 2,000만원의 수익을 안겨줄 것입니다.

 

즉, A기업의 적정가치는 2,000만 원 인 것입니다.

 

그렇게 보면 현재 A기업의 오너가 당신에게 제시한 1,000만 원은 아주 싼 가격이죠. 당신은 1,000만 원을 주고 A기업을 인수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입니다.

우리가 주식을 매수할 때도 이러한 사고의 흐름은 동일합니다. 다만 우리는 회사전체를 매수하지 않고 회사를 쪼개서 파는 주식을 매수하는 것일 뿐이죠.

 

회사 주가가 현재 10만원일 때, 향후 미래 주당 이익을 모두 합쳐서 10만 원 이상이라면 현재 주가는 적정주가보다 저렴하므로 매수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이것이 절대가치평가방법의 개념입니다. 기업이 미래에 얼마나 돈을 벌지를 따져서 적정가치를 구하는 방법인 것이죠

2.  절대가치평가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이유
하지만 현실에서는 절대가치평가가 정말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내가 세운 기업이라 한들 5년 후에 얼마를 벌지 어떻게 정확하게 예상하겠습니까 심지어 월급이 고정적인 직장인도 5년 후에 통장잔고가 얼마일지도 예상 불가한데 말이죠.

하물며 외부인인 투자자가 기업이 얼마를 벌지 예상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습니다. 한다고 해도 대략적인 규모를 유추하는 것일 뿐이고, 이것 역시 틀릴 가능성이 더 크구요. 그렇기 때문에 주식 가격을 절대가치평가로 평가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시장 참여자들에게 신뢰를 얻기도 힘듭니다.(그 과정이 아무리 논리적이라도 해도 말이죠)

그럼에도 절대가치평가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몇가지 있습니다.


1. 비교 기업이 없는 기업인 경우
- 새로운 비즈니스모델로 사업을 하는 기업은 비교할만한 다른 기업이 없어서 상대가치평가법을 사용하기가 어렵습니다.
- 이런 경우 가끔 절대가치평가법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2. 매우 보수적으로 계산하는 경우 등
- 이 경우는 심리적인 안정을 얻기 위해 기업의 최소가치를 계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기업의 미래 이익을 매우 보수적으로 계산하는 거지요.

이렇게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 절대가치평가법은 시장에서 통용되기가 어려워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래도 개념은 알고 있는 것이 주식시장에서 발간되는 뉴스, 리포트 등을 이해할 때 편하실 겁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시장에서 가치평가법으로 흔히 쓰이는
상대가치평가법에 대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

 

https://ecommon-sense.tistory.com/17

 

PER이란 무엇인가 - 상대가치평가1

PER,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죠 우리가 이 주식이 얼마나 비싼지 알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우리가 삼프로방송을 듣거나 주식하시는 분들의 대화를 듣다 보

ecommon-sense.tistory.com

https://ecommon-sense.tistory.com/18

 

PER 분석의 맹점 - 상대가치평가 2

이번 포스팅에서는 PER 분석 시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PER의 개념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참조해주세요 https://ecommon-sense.tistory.com/17 PER이란 무엇인가 -

ecommon-sense.tistory.com

 

728x90

댓글